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5년 02월 첫째 주 주간 경제지표
    경제용어, 지식, 뉴스 2025. 2. 9. 14:18
    반응형

    기대했던 고용지표 혼조세 25년 02월 첫째 주 주간 경제지표

    25년 02월 첫째 주 주간 경제지표

     

     

    25년 02월 첫째 주 주간 경제지표 트럼프 정부 기간 동안 큰 변화 없다면 금리인하 가능 언급.

     

    미국 제조업지수부터 실업률, 평균임금 등 주목했던 주요 지표를 혼재적인 모멘텀으로 받아들이는 시각이 많아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정책과 관련해 연일 시장에 변동성을 부여하며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정책을 연기했지만 여전히 중국과의 무역마찰을 지속하고 있는데요.

     

    우방국가인 유럽에서도 본격적인 관세정책을 타진하며 유럽역시 반발에 나서고 있습니다.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부분이 혼재헀던 25년 02월 첫째 주 주간 경제지표 알아보겠습니다.

     

     

     

    중요도 매우높음

    02.04

     

    미국 - ISM 제조업 지수 PMI 예상치 49.3 -> 발표치 50.9

     

     

    02.05

     

    미국 - 노동부 구인, 구직 보고서 예상치 8.01M -> 발표치 7.60M // ADP 비농업취업자수 예상치 148K -> 발표치 183K

     

    뉴질랜드 - 직전분기대비 이직률 예상치 -0.2% -> 발표치 -0.1% // 실업률 예상치 5.1% -> 발표치 5.1%

     

     

    02.06

     

    미국 - ISM 서비스업지수 PMI 예상치 54.2 -> 발표치 52.8 // 실업자 청구건수 예상치 214K -> 발표치 219K

     

    영국 - 영란은행 기준금리 예상치 4.5% -> 발표치 4.5%

     

     

    02.07

     

    미국 - 직전월대비 평균임금 예상치 0.3% -> 발표치 0.5% // 비농업자 취업자수 예상치 169K -> 발표치 143K // 실업률 예상치 4.1% -> 발표치 4.0%

     

    캐나다 - 고용변화 예상치 25.5K -> 발표치 76K // 실업률 예상치 6.8% -> 발표치 6.6%

    25년 02월 첫째 주 주간 경제지표 중요도 매우높음

     

     

     

    중요도 높음

    02.03

     

    호주 - 직전월대비 소매판매 예상치 -0.7% -> 발표치 -0.1%

     

    유로존 - 직전연도대비 핵심 잠정 CPI 추산 예상치 2.6% -> 발표치 2.7% // 직전연도대비 잠정 CPI 추산 예상치 2.4% -> 발표치 2.5%

     

    미국 - 최종 제조업지수 PMI 예상치 50.1 -> 발표치 51.2

     

     

    02.04

     

    미국 - ISM 제조업 가격지수 예상치 52.6 -> 발표치 54.9

     

     

    02.05

     

    미국 - 최종 서비스업지수 PMI 예상치 52.9 -> 발표치 52.9

     

     

    02.06

     

    미국 - 크루드오일재고 예상치 2.4M -> 발표치 8.7M

     

    영국 - 건설 PMI 예상치 53.5 -> 발표치 48.1

     

     

    02.07

     

    미국 - 소비자만족도 예상치 71.9 -> 발표치 67.8 // 인플레이션 예상 발표치 4.3%

    25년 02월 첫째 주 주간 경제지표 중요도 높음

     

     

     

    마치며

     

    변동성장세 속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입김에 시장이 좌우되고 있습니다.

     

    강달러기조가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까지 발생했는데요.

     

    유럽과의 관계에서도 실리를 추구하면서 미국우선주의, 보호무역주의를 관철시키고 있는 트럼프가 시장에 지속적으로 모멘텀을 제공하는 모습입니다.

     

    딥시크 충격에서도 각 전문가마다 상이한 의견이 나오면서 미국을 포함해 우리나라 정부는 IP차단을 단행했습니다.

     

    여로모로 혼란스러운 불확실성의 경제가 이어지면서 차주 예정된 미국의 CPI, PPI 등 주요 지표를 잘 살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함께 읽어보세요.

     

    01월 다섯째 주 주간 경제지표

     

    25년 01월 다섯째 주 주간 경제지표

    Fed 기준금리 동결부터 코어 PCE까지 25년 01월 다섯째 주 주간 경제지표  25년 01월 다섯째 주 주간 경제지표 트럼프 대통령 관세정책 본격적인 시행절차 돌입. 딥시크 관련 변동성 모멘텀으로 시

    tremenly.tistory.com

     

     

     

     

    AI 시장 전망

     

    AI 시장 전망 딥시크 충격 속 모멘텀 지속

    딥시크 여파 미증시 급락, AI 모멘텀은 지속 AI 시장 전망은? AI 시장 전망 딥시크 충격에도 MS, ...

    blog.naver.com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